눈을 오래 마주 보아야 합니다



2020. 7. 20 – 8. 7



김성혜   노시원   전인   하혜리   황예지


기획 | 노시원, 전인, 황예지
장소 | 온수공간 
후원 | 서울문화재단
관람시간 | AM 11 - PM 7, 휴관없음 

                    
                  
 


지옥에서의 탄식


언데드(undead)

한낮의 지옥. 유령은 마를 날이 없고, 매일 갱신되는 죽음들. 죽은 건 너인데 어째서 내가 숨이 멎는 기분인가. 1) 어둠과 용암 붉은 조명 관념의 지옥은 탈각된 지 오래. 눈을 질식시킬 만큼 강한 빛이 여기 있다. 첨예한 것들을 쥐지 않고서는 아무 것도 쓸 수 없는데, 그렇게 돼 버렸다는데.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말들을 음산하게 중얼거린다. 나의 생존이 우연하다는 것을 알게 된 날부터다. 돌이킬 수 없는 일별의 시간. 주검들이 뒤섞이기 시작했다. 정확히 말하자면, 아직 오지 않은 죽음과 이미 와버린 죽음들이. 당신이 나였고, 내가 당신이었으니까.

죽어 있던(살아 있던) 과거는 소급적용 되고, 살아갈지도(죽을지도) 모르는 미래는 사후적으로 재구성된다. 언니가 저였고, 제가 언니였어요. 우리, 어떻게 이어져 있는 걸까. (불)가능한 시제를 체현하며 육체에 각인된 통증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거대한 집합적 몸. 몸들의 네트워크는 생과 죽음을 괄호 안에 넣음으로써 역설적으로 관념의 몸-언데드의 형상으로 부활한다. 끈적하게 뭉치기 시작하는 뼈 조각과 살점들. “이것은 우리가 거대하게 살아 있겠다는 선언입니다.”






수행하는 몸, 입장들

공포스러운가. 그러나 여성의 몸에 있어 ‘연결’의 감각은 게릴라처럼 기습하고 사라지는 유령적 충동이 아니다. ‘지금, 여기’에서, 삶에 부단하게 침투하며 일상에서 지속되고 있는 장면들이다. 여성들은 직접 겪지 않은 통증에 대해서도 해박하다. 그것은 언제든지 내 신체로 옮겨올 가능성을 담지한, 예비된 통증이기에. 일면식도 없는 타인의 죽음에 허리가 꺾일 만큼 마음을 짓눌리는 것도 유난스러운 일은 아니다. 어떻게 이런 네트워크가 가능한 걸까. 버틀러는 ‘슬픔’이 원자화된 개인들을 묶어 줄 수 있는 끈 역할을 하는 정념이라고 말한다. 집요하고 무차별적으로, 일상에 급습하는 정동. 몸에 쌓인 슬픔들로 인해 이제 살갗에 닿는 세상의 양식은 이전과는 다른 종류의 마찰로 전복된다. 어떤 앎은 돌이킬 수 없이 생을 바꿔놓기도 하지. 전에 알던 세계는 산산조각나 버렸다. 전생처럼 오래 된 일만 같다.

한편 이러한 육체들 사이의 긴밀한 연결의 체험 자체가 독립적으로 무언가를 표명하지는 않는다. 경험 자체도 사회적인 위치 지어짐으로 형성된 결과물이라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우리가 ‘입장’을 가지기 위해서는 부당한 사회체제 아래 숨겨진 체제 유지의 기제와 실상을 직시해야 한다. 2) 샌드라 하딩에 의하면, 그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로 투쟁이다. 투쟁을 통해 비로소 입장을 쟁취할 수 있다. 경험들이 말해지게 하기 위해, 여성들은 결집하고 도모한다. 객관이라는 허구를 폭로하고 지평을 무너뜨리려 한다.

마찬가지로 여성이라는 정체성, 스스로 부여한 권한으로 생동하는 5인의 작가들의 중심에 ‘몸’에 대한 소회가 가로지르고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허나 이들은 단지 연결되어 있는 몸들의 총체-네트워크의 형상을 구현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이들은 이 몸체를 매개로 하여 ‘몸짓들’, 빌렘 플루서의 말을 빌리자면 ‘의미를 표명하는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수행한다. 이는 여성들이 슬픔과 애도라는 동질한 정념으로 묶였던 순간들, 그 연결의 기억들을 다만 정지된 상으로 내버려두지 않을 거라는 의지다. 말해지지 않았던 것들에게 발화기관을 쥐여 주겠다는, 투쟁에의 결단이다. 부활의 증인이면서 당사자인 이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불가해한 몸-네트워크를 해석하고 몸짓들을 파생시킨다. 그 동력으로, 비로소 우리는 ‘입장들’을 향해 전진할 것이다.

단순히 움직임의 외형에 대한 묘사만으로는 환원되지 않는 것에 대한 설명도 덧붙여야겠다. 이들과 마주했을 때 잠시간 우리를 깊은 지하로, 침전으로 빨아들이는 심연들에 대해 말해보자. 몸짓들을 보다 급진적인 소여로 나아가게 하는 것은 이들이 기이한 공간을 일시적으로 열어젖힌다는 사실이다. 가령 중력을 해체하고 허공을 가로지르는 통로들, 욕망하는 여성들이 교환하는 시선 속에서 무한히 확장되는 가능성의 세계, 상처로 인해 벌어진 피부의 틈새들, 포옹과 포옹 사이. 미시적인 영역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임시세계들은 육체의 감각으로는 지각될 수 없는 상상적 공간이다. 음습한 ‘사이’들이 개방되는 순간, 우리는 피부층을 넘어서는 내밀한 체험으로 유도된다. 물리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이(異)세계로 우리의 의식을 데려가는 걸까. 투쟁들은 지상에서 행해질 수는 없는 것일까.

이것은 SF(Sci-Fi)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는 픽션 속에서 진실을 말하려는 경향이 있어. 3) 마찬가지로 이 심연들 또한 가려져 있던 것, 잠겨 있던 것을 드러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찢어진 균열인 것은 아닐까.
‘지금, 여기’를 회절한 대안적 세계로의 초대이기보다는, 지상에서 지켜야 하는 것들을 지켜내기 위한 ‘상상력’일 것이다. 이 틈은 감각을 초월하는 공상으로 채워져야 할 공백이 아니다. 오드리 로드가 “우리 삶을 성찰할 때 어떤 빛을 비추는지에 따라 우리가 빚어 낼 삶의 형태가 결정된다”고 말했을 때, 바로 그 ‘비춤’을 위해 벌어지는 ‘틈’일 것이다. 4)


미광

틈 사이로 떨어지는 빛. 균열의 가시선을 드러내는 야광체들. 그러나 지상에서 스스로 존재를 드러내기에는 아마도 턱없이 부족한 광량일 테다. 모든 잔광들을 초과하는 절대적인 광명이 이미 지평을 비추고 있기 때문이다. 디디 위베르만에 의하면, 이 세계에서 영광의 강한 빛은 이제 권력자들의 편에 예속된다. 반대로 모든 약한 빛은 억압에 맞서려는 자들의 형상일 것이다. 충만한 탐식의 광은 미약한 반딧불을 절멸하기 위해 사납게 번뜩인다. 태초처럼 밝게 빛나는 곳이야말로 현대적인 의미의 지옥이다. 강한 빛은 약한 빛을 삼키고, 제 것으로 흡수시키며, 무수한 발광의 시도들을 없던 일로 무화하려 들 것이다. ‘가만히 있으라’ 종용하고, 침묵과 마비를 환영할 것이다. 우리가 전송하는 빛이 어딘가 뒤틀려있다고 말하면서, 밝은 것은 하나로 충분하지 않냐는 말로 회유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우리의 몸짓에는 필연적으로 어둠이 소환된다. 투쟁의 결정체적인 빛, 잔존하는 미미한 것들을 감식하기 위한 어둠이다. 어쩌면 어둠을 문신처럼 몸에 새겨 넣어야 할지도 모르겠다. 얼굴은 공포물의 현신처럼 그을릴 것이다. 거친 탄식으로 호흡하고 스산한 배경음을 동반하면서, 웃음기 없는 얼굴로 한낮의 거리를 활보할 것이다. 우리는 사랑하고 우리는 악해. 5) 살벌한 진담을 던지고, 끔찍해질 것이다. 기꺼이 괴물이 되려고. 우리가 송신하는 빛을 감지할 수 없는 사람들은 이곳에서 암전만을 보리라.

 김예솔비

--------------------------------------------------------------------------------------------------
1) 한유주(2018)『, 처음부터 다시 짖어야 한다』, 서울: 문학과 사회
2) 샌드라 하딩(2009)『, 누구의 과학이며 누구의 지식인가?』, 서울: 나남 물질적 증거로 기능하는 셈이다.
3) 김응수, <아버지 없는 삶> (2012)의 내레이션 일부를 차용했다.
원본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우리는 픽션 속에서 더 진심을 말하려는
경향이 있어.”
4) 오드리 로드(2018)『, 시스터 아웃사이더』, 서울: 후마니타스
5) 김이듬(2017)「, 발코니」『, 표류하는 흑발』, 서울: 민음사
--------------------------------------------------------------------------------------------------


노시원, <무중력의 곳으로>, 2020
퍼포먼스 도큐먼트(421)
NOH Siwon, <Away from the Force>, 2020
Performance document(4min 21sec)




노시원, <무중력의 곳으로>, 2020
나무, 파이프, 지퍼, 215x80x140cm
NOH Siwon <Away from the Forces>, 2020
Wood, Pipe, Zipper, 215x80x140cm




노시원, <겹쓰인 목소리 1,2,3>, 2020
휴대용 전자기기, 돼지 껍데기, 나무, 파이프, 135x30x60cm
NOH Siwon, <Overwritten Voices 1,2,3>, 2020
Mobile device, Pig skin, Wood, Pipe, 135x30x60cm

노시원은 역사 안에서 여성의 온전한 발화가 배제되어 온 궤적에 주목하고, 그 외력을 해소하기 위한 환경으로 무중력을 제안한다. 이때 몸은 어떤 인력으로부터도 귀속되지 않은 채 상공을 횡단하는 무수한 경로들을 추출해 낸다. 


전인, <시선아래>, 2020
투 채널 비디오(8:41/9:05), 형광등, 필름에 디지털 프린트스프레이 페인트
JEON In, <Under the sight>, 2020






전인, <내가 말했잖아_스크린샷1-8>, 2020 (텍스트 참여: 김마오)
디지털 프린트(8), 10x15cm
JEON In, <I told you so_screenshot1-8>, 2020

전인은 여성의 신체가 통과하는 몸짓들이 코드화된 이미지로 중첩되고 그 의미가 굴절되는 오독의 순간을 전복적으로 탐구한다. 거울 없이는 직시에 무능한 사람들을 위해 미리 준비된 맥거핀이다. 


황예지, 설치전경

황예지, <4.16 기억교실>, 2020
디지털 피그먼트 프린트, 110x110cm
HWANG Yezoi, <4.16 Memory Class>, 2020

황예지, <단원고 뒷산>, 2020
디지털 피그먼트 프린트, 110x110cm
HWANG Yezoi, <Danwon Highschool, Mountain>, 2020 Digital pigment print, 110x110 cm

황예지는 시간이 겹쓰인 풍경 속에서 생채기가 난 몸을 발견해낸다. 객관물에 정념을 부여하고 훼손된 신체의 징후를 포착하는 시선은 물론 부드럽고 연한 눈으로 읽힐 수도 있을 테다. 그러나 무언가를 꿰뚫기에는 충분히 날카로울 것. 황예지는 그간 섣부른 정동을 배제하는 것을 기록자의 자아로 여겨왔던 남성적 관행들과 길항하며 여성 사진가의 몸으로 상흔들을 어루만진다. 황예지는 무해한 짐승의 사려 깊은 동공을 가진 사진가다. 







김성혜x하혜리, <훼손되지 않을 눈들‐하늘과 연결지어>, 2020
한지에 잉크젯 프린트, 도자기에 디지털 전사, 유성 페인트(6점), 100x120x25cm, 10x10cm
KIM SunghyexHa Hyeri, <The undamaged eyes‐Connection with the sky>, 2020 Inkjet print on hanji, Digital print on ceramic, Paint, (6pieces), 100x120x25cm, 10x10cm



김성혜x하혜리, <바위들맞닿은 바위>, 2020
도자기에 유약, 잉크젯 프린트, 17x16x3.5cm
KIM SunghyexHa Hyeri, <The rocksLean on each other>, 2020 Glazed on ceramic, inkjet print, 17x16x3.5cm


김성혜x하혜리, <바위들건네는 손>, 2020
도자기에 유약, 잉크젯 프린트, 9x9.5x9cm
KIM SunghyexHa Hyeri, <The rocksGiving a hands>, 2020 Glazed on ceramic, Inkjet print, 9x9.5x9cm




김성혜x하혜리, <훼손되지 않을 눈들드래곤을 위하여 01>, 2020
한지에 잉크젯 프린트, 도자기에 유약, 거울(15), 150x210cm, 15x10cm
KIM SunghyexHa Hyeri, <The undamaged eyesfor female dragons 01>, 2020

그렇다면 여기 또 하나의 짐승, 김성혜하혜리가 탄생시킨 괴형들은 또 어떠한가. 두 사람은 이 기묘한 형상을 한 짐승의 모체다. (누구도 상대를 압도하지 않으면서 무한히 루프(loop)되는 수평적 포옹들로 탄생한 몸. 유연함과 단단함을 존재론적 속성으로 새긴 몸. 이는 여성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연대의 몸짓들이 축적되고 있음을, 휘발되지 않았음을,그 절박한 불투명함에 대한 물질적 증거로 기능하는 셈이다. 

 김예솔비